News

홈 > 뉴스룸 > - 무역뉴스
- 무역뉴스

中, 한국 화장품 다음은 치약이 대세

이루세 0 1468

中, 한국 화장품 다음은 치약이 대세?

- 중국 치약 생산기업 총 93개, 2014년 매출액 200억 위안 -

- 치약시장 고급화로 한방제품이 주목 받는 가운데 한국산 제품 수입 2위 -

 

□ 중국 치약 생산 현황

 ○ 현재 중국의 치약 생산기업은 총 93개임

  - 그 중 2014년 중국 전역의 45개 치약 생산 대기업의 판매 수익은 181억2000만 위안으로, 전년동기대비 8.98% 증가

  - 이윤 총액은 31억3000만 위안으로, 전년동기대비 21.51% 증가

  - 중국 치약제품의 2014년 매출액은 200억 위안에 달함.

 

 ○ 치약이 주로 생산되는 지역: 광둥성, 윈난성

  - 주로 광둥성에서 생산되는 제품: 달리, 크리스트, 콜게이트

  - 주로 윈난성에서 생산되는 제품: 운남백약(云南白)

  - 광둥성에 위치한 치약 생산기업의 판매 수익은 산업 전체 수익에서 53%(96억 위안)를 차지, 이윤은 산업 전체 이윤에서 54%(16억7000만 위안)을 차지

  - 윈난성에 위치한 치약 생산기업의 판매 수익은 산업 전체 수익에서 14.3%(26억 위안)을 차지, 이윤은 산업 전체 이윤에서 36%(11억2000만 위안)을 차지

 

□ 중국 치약 수출입 현황

 ○ 수입제품에 대한 의존도 낮아

  - 2014년 중국 치약 제품량은 총 57만6000톤. 그 중 75%(43만2000)톤은 중국 현지에서 판매됨.

  - 중국 치약제품 중 수출되는 제품은 14만3000톤이며, 수입되는 제품은 5400만 톤으로 매우 적음.

  - 중국 치약 수출액은 2억8900만 달러, 수입액은 3400만 달러로 최근 몇 년간 무역 흑자를 기록하고 있음.


□ 중국 치약 시장동향

 ○ 고급화되는 치약제품

  - 2014년 중국 치약산업에 최고급 제품의 점유율은 20%, 고급 제품의 점유율은 8%, 중고급 제품의 점유율은 52%, 저급 제품의 점유율은 20%
  - 중국 치약시장에서 최고급 제품과 고급 제품의 시장점유율은 높음.

   · 슈퍼마켓, 매장 등 판매시장에서 최고급 제품과 고급 제품의 시장 점유율은 높음.

   · 중소도시 및 지방에 위치한 마트, 소형 슈퍼마켓, 편의점에서 고급 제품의 매출 증가폭은 큼.

 

 ○ 기능별 세분화

  - 치약의 기능을 보면, 미백제품 29.9%, 한방제품 19%, 충치예방제품 16.3%, 청향(상쾌함)제품 10.7%, 다기능 제품 9.8%, 시린이 개선효과제품 8.4%임.

 

 ○ 의약 생산기업 잇따라 ‘한방 치약’ 출시

  - 선전 진이더 의약유한공사(深金易德有限公司)는 치약브랜드 ‘싼치(三七)’ 치약 생산기업과 협력해 중국 특허제품 ‘싼치(三七)-한방 치약’을 출시

  - 의약회사 ‘펜쯔황(片仔)’과 치약회사 상하이자화(上海家化: 치약회사)는 합자기업을 설립해 치약시장을 개척

 

 ○ 고급 치약시장에서 중국 브랜드 치약은 60%의 시장 점유

  - 100g 포장, 판매가 15위안 이상의 고급제품 시장에서 중국 브랜드 치약의 점유율은 60%임.

  - 운남백약, 야보스(牙博士), 서커(舒克)의 매출은 최근 몇 년간 고급제품 시장에서 눈에 띄게 상승

  - 칭차이(采) 회사에서 생산된 야보스 치약 제품량은 1만5000톤에 달함.

 

□ 시사점

 ○ 치열한 치약시장에서 진출이 늦은 기업과 브랜드는 어떻게 해야 성공할 수 있을까?

  - 소비자들이 원하는 기능의 치약을 파악해 새로운 기능의 제품을 개발해야 함.

  - 치아 케어 뿐만 아니라 구강 케어 효과를 제공해야 함.

  - 또한, 치아 청결뿐만 아니라 미백 및 시린 이 개선 등 보건효과를 제공해야 함.

  - 소비자들이 원하는 구강 케어기능을 개발해 제공해야 함.

 

 ○ 브랜드

  - 치약시장을 연령대별로 세분화해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기획해야 함. 각 연령대가 선호하고 필요로 하는 효과로 치약을 제조해 판매해야 함.

   · 예를 들어, 어린이용 치약, 노인용 치약 등 

0 Comments

Sunwah Group